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함께한 50년:타운·상권 형성기] 이민 급증으로 한인상권 성장세 확산

  ━   이민 급증으로 한인상권 성장세 확산      1970년대    노동집약적 비즈니스 늘어 올림픽과 8가로 상권 확대   70년대는 한인상권이 급성장한 시기였다. 70년대 들어서면서 이민 1세들의 피땀 흘려 축적한 자본이 자영업에 집중 투자됐고 69년 이후 급증한 이민 증가도 한인상권 확대에 한몫했다.     영국·독일·프랑스 등 유럽국가에 이민쿼터가 대거 할당된 ‘내셔널 오리진시스팀(National Origin System)’ 이민규정이 1968년 케네디법으로 개정되면서 60년대 매년 1000~2000명에 불과한 한인 이민자가 2만 명 내외로 증가, 한인경제력을 더욱 두텁게 만드는 기반이 됐다.     60년대 후반 올림픽가에 진출한 ‘올림픽마켓’을 중심으로 한인업소들이 올림픽가에 자리잡기 시작했으며 이후 70년대 후반 ‘동서식품’을 정점으로 8가길을 따라 한인 업소들이 잇따라 들어섰다.     60년대 제퍼슨가의 한인상권이 70년대에는 올림픽, 8가로 북상하며 확대된 것이다. 올림픽가와 8가에 밀집한 한인업소 수가 79년말 300개 업소가 넘었고 대형쇼핑센터도 7개에 달했다. 한인들이 올림픽가로 대거 몰리자 이 지역 스퀘어피트당 땅값은 LA의 노른자위로 통하는 윌셔가의 12달러보다 훨씬 비싼 20달러를 호가하기도 했다.     70년대 초 한인들의 주된 종사업종은 리커·마켓·그로서리·햄버거식당 등 먹는 장사가 주류를 이뤘다. 1만~2만 달러의 적은 밑천으로 노동집약적인 비즈니스가 붐을 이룬 것이다. 이와함께 자동차, 부동산, 보험 등 서비스업 종사 한인도 급증했으며 60여 봉제업소도 79년 협회를 결성하며 다운타운 지역에 또다른 한인 한인경제권을 형성하기도 했다.     특히 이 기간은 가주외환은행이 74년 개설돼 한인금융자본이 타운경제에 본격 투입되는 계기가 됐다. 가주외환은행의 개점 1년 후 비즈니스 계좌는 1000여개에 달했고 SBA 융자를 중심으로 총 1000만 달러 이상을 타운에 공급했다. 이때부터 금융 자본이 한인 경제신장의 밑거름으로 작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   축적된 자본으로 타운 발전 기틀 마련      1980년대   의류·봉제업 다운타운 진출 은행 점포도 20여개로 늘어   현재의 모습으로 한인상권이 완성된 시기이자 자생력을 갖춘 때였다. 무엇보다도 금융기관이 급증해 한인들의 여윳돈이 한인상권으로 재투자되면서 경제를 발전시켰다.   80년대 들어 글로발뱅크(81년)에 이어 한미(82년)·중앙(86년)·나라 (89년, 당시는 미주은행으로 출발) 등 한인은행들이 속속 설립됐다. 70년대 1개에 불과하던 은행 점포수가 20여개로 늘어났고 자산규모는 1000만달러대에서 13억달러로 급신장했다.     이같은 은행 성장은 한인들에 대한 자금 공급 확대로 연결되면서 70년대 올림픽·8가를 중심으로한 한인상권이 버몬트, 웨스턴, 3가로 확대됐다. 이와함께 70년대 당시 상점만 차리면 될 정도여서 대부분의 한인들이 축적한 부를 바탕으로 사업체 대형화 및 업종 다양화를 시도했다.     봉제업체 수가 급격히 불어났으며 자바상 및 잡화수입상들도 다운타운 지역으로 속속 유입돼, 한인 도매상권이 거대하게 형성됐다. 89년 당시 한인들의 업종분포를 보면 82년 365개였던 마켓·리커 수가 27000개 업소로 7년만에 7배나 급증했고 세탁소도 82년부터 4배 가까이 늘어난 1800곳에 달했다.   또 봉제업소 900여곳, 자동차 관련업체 600여곳, 기타 소매·서비스 업종이 1800여개에 이르는 등 총 한인업체수는 1만여곳으로 80년 초보다 4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이 기간 두드러진 특징은 축 적된 부를 바탕으로 한인사회에 부동산 투자 바람이 거세게 인 것이다. 80년 중반부터 한인들 사이에 내집 마련 열기가 확산됐으며 한인타운 내 아파트, 윌셔가의 대형건물에 대한 투자도 붐을 이뤄 타운 부동산들이 속속 한인 손에 들어왔다. 그러나 이같은 부동산 투자 과열은 90년대 들어서 미국경제에 불어 닥친 경기침체 때 타운경제를 더 깊은 침체수렁으로 빠지게 한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   LA폭동과 지진의 시련 딛고 일어나    1990년대   정치력 신장에 관심 커져   업소의 양적 팽창 주춤해져   80년대 한인업소의 양적 팽창은 업계간 과열경쟁 심화로 90년대 들어 주춤하기 시작했다. 이와함께 전반적인 경기한파에 LA폭동, 노스리지 지진 등 각종 악재가 겹쳤다.     특히 LA폭동은 한인사회의 주요 기반을 파괴할 정도의 엄청난 시련을 가져다 주었다. 수많은 업소들이 불에 타고 한인상권은 급속히 쇠퇴하는 시련기를 맞았다.     하지만 LA폭동은 시련 만큼이나 한인사회에 반성과 함께 경제분야에서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는 계기가 됐다.     LA폭동 이후 한인들의 사업체 선호가 과거 리커, 세탁소 등 노동집약적인 업종에서 프랜차이즈 등 자본집약적이며 생활의 여유를 찾을 수 있는 업종으로 전환됐다. 업종 다양화가 가속되면서 한인 사업체에 대한 구조 조정이 진행되기도 했다.     또한 LA폭동을 계기로 한인들이 정치력 신장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정치 지망생도 늘었다. 이런 노력은 후에 연방하원의원 배출 등으로 결실을 맺는다. 폭동이 터졌을 때 억울한 피해를 당한 한인들은 우리의 목소리를 전할 정치인의 부재를 실감했고 이는 정치에 관심을 두게 되는 계기가 됐다. 그후 많은 한인들이 로컬과 연방정부 등의 선출직 정치인에 출마하기 시작했다. 한인사회도 이들 후보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와 함께 92년 UCLA 기업경영강좌를 필두로 각종 경영이론 교실이 속속 개설되면서 주먹구구식 경영으로는 불경기를 타개할 수 없다고 판단한 한인업주들 사이에 배움의 열기가 확산됐다. 1995년 7월 기준 중앙일보가 발간 한 업소록에 수록된 LA카운티 한인 업체수는 1878곳. 이처럼 한인상권이 30여년에 걸쳐 거대하게 형성됐지만 문제점이 없는 것도 아니었다. 89년 말 전체 업체중 제조업 비율이 2.97%에 불과 할 정도로 대다수 한인업체가 비생산적인 단순 상점형태로 한인경제 성장기반이 허약했다.   결론적으로 1990년대는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서 한인사회의 변화를 가져온 시기였다.        ━   9·11 여파 견디고 전성기 맞는 타운    2000년대    윌셔길 중심 부동산 매입 활발 타인종 고객 유치에 적극 나서   LA한인타운은 2000년대 초반 9·11 테러,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란 초대형 악재에 시달리면서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9·11 테러가 발생한 2001년 미국의 GDP는 1.4%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고, 한인타운 경기도 침체됐다. 특히 경기에 민감한 소매업체가 큰 타격을 입었다. 미국의 이민 정책 방향은 개방에서 억제로 돌아섰다. 이 기조는 약 20년 동안 유지되며 한인타운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인 이민 1세대를 주 고객으로 삼아온 업체 상당수가 고전한 반면, 타인종 고객을 적극 유치하거나 시대의 변화를 따라잡은 업주는 2000년대 중반 부동산 붐에 따른 호황을 누렸다.   강력한 경기 부양 덕분에 미 경제는 부동산을 중심으로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고 한인타운에선 윌셔 불러바드를 중심으로 개발, 건물 매입이 활발하게 진행됐다. 제이미슨 프로퍼티는 윌셔길 상업용 건물을 잇따라 매입했다. 한인사회 최대 규모 스포츠 센터 아로마윌셔센터, 한인 업체가 개발한 고층 주상복합 콘도 ‘솔레어’가 모두 2000년대에 등장했다.   최운화 퀀텀 F&A 대표(당시 커먼웰스 비즈니스 뱅크 행장)는 2004년 한인은행 거래 통계를 토대로 LA한인사회 경제가 140억 달러에서 180억 달러 규모이며, 이는 한국 GDP(6000억 달러)의 약 40분의 1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최 대표는 “성장 속도와 타운의 경기 등을 감안할 때 한인타운의 전성기는 2000년대 초, 중반이라고 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2007년 터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이어졌고 한인타운은 다시 고난의 시기를 겪어야 했다.   2000년 연방 센서스에서 파악된 LA시 한인 인구는 9만1595명이며, 2001년 중앙업소록의 LA카운티 한인 업소는 1만6466개다.       ━   금융위기 후 반등…타운 곳곳 건축붐      2010년대   LA 재개발 중심지로 부각 코리아타운 분리안 막아내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은 컸지만 한인타운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 저력을 보여줬다. 2012년 무렵엔 경기도 바닥을 찍고 반등하기 시작했다. 제로(0) 수준의 초저금리, 양적 완화 정책에서 비롯된 유동성은 한인타운 비즈니스와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2010년대 한인타운은 부동산 재개발 붐을 맞았다. 타인종 투자자도 주거용 부동산 재개발에 뛰어들면서 주상복합 콘도, 아파트 건립 프로젝트가 본격화했다. 교통의 요지이기도 한 한인타운은 LA 재개발의 중심지로 부각됐다.   가주에 본점을 둔 7개 한인 은행 자산 규모는 2016년 4분기 214억8890만8000달러를 기록, 전국 18개 한인은행 전체 자산 규모(277억1897만7000달러)의 약 78%를 차지했다.   2017년 9월 남가주엔 한인 마켓 10개, 32개 매장이 운영됐고, LA한인타운에서만 10개 매장이 경쟁했다.   한국 기업의 LA진출도 계속됐다. 2019년 현재 LA카운티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149개에 달했다.   LA 한인들은 2018년 한인타운을 쪼개 방글라데시 타운(리틀 방글라데시)으로 나누자는 주민 투표안 찬반 투표에서 반대 투표율 98.5%를 이끌어내는 결집력도 과시했다.   LA한인경제의 젖줄로 통해온 의류 업계(자바시장)는 2010년대 중반 들어 의류 도, 소매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었다. 한인의류협회 2016년 조사에서 LA 한인의류업체 수는 1300곳으로 2년 전에 비해 26% 줄었다.   2010년 연방 센서스에서 파악된 LA시 한인 인구는 10만8282명이다. 10년 전에 비해 18.2% 증가했다. 우편번호를 이용한 분석에서 LA한인타운 지역 한인 인구는 5만7730명으로 집계됐다. LA시 한인 인구의 53.3%가 한인타운에 거주한 것이다.        ━   K컬처 인기에 수혜 업소 늘어나      2020년대   팬데믹 후 자바시장 침체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심화   한인타운은 2020년대 초반 코로나19 팬데믹이란 시련을 겪었다.   자영업자들은 셧다운, 매출 부진으로 직격탄을 맞았지만 정부 지원금으로 한숨을 돌렸고 패티오 영업, 테이크 아웃과 배달 서비스 도입, 온라인 거래 확대 등으로 대응하며 암울한 시기를 견뎌냈다. 언제 끝날지 몰랐던 긴 터널을 빠져나온 업체도 많지만 결국 문을 닫은 곳도 많았다.   팬데믹의 충격이 가시자 LA 한인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자바시장의 침체가 화두로 떠올랐다. 가업 승계 불발, 최저임금 인상, 의류 시장에 급속히 확산된 온라인 도매 플랫폼, 홈리스 증가와 치안 악화 등의 악재가 2010년대 중반 이후 약화된 자바시장을 강타했다. LA 인근 지역 또는 타주로 이전한 업소도 상당수이며, 아예 폐업하는 업주도 늘었다.   재택 근무 확산으로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이 치솟자 인근 업소의 매출은 하락했다. 오피스 빌딩을 주거 시설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 재개발도 금리, 자재, 임금 상승으로 주춤했다. 과거 재개발 붐을 타고 들어선 새 건물들은 렌트비를 끌어올렸고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한인 주민과 한인 업주가 한인타운 외 지역으로 옮겨가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나타났다.   최근 한인타운에서 관측되는 변화는 K-드라마, 푸드를 포함한 K-컬처의 인기에 힘입는 업소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드라마의 영향으로 코리안 바비큐, 치킨 전문점, 카페, 주점을 방문하는 타인종이 늘었고 타운에선 한국 유명 치킨 브랜드의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다.   2020년 연방 센서스 결과, LA시 한인 인구는 11만2886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약 4.3% 늘었다. 증가율이 10년 전의 약 4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한 것은 향후 한인타운의 미래를 그릴 때,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임상환 기자형성기 타운 한인상권 성장세 한인상권 확대 증가 한인경제력

2024-09-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